본문 바로가기

기억 想/일탈 脫

솟대



솟대 민속신앙에서 새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세우거나 마을 입구에 마을의 수호신의 상징으로 세운 긴 나무 장대이다. 지방에 따라 '소줏대', '솔대', '별신대' 등으로 불린다. 삼한 시대 소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긴 장대 끝에 나무로 만든 새 조각이 있는 모습이다.


솟대는 농촌에서
섣달무렵에 새해에 농사가 풍년이 되길 바라는 의미로 볍씨을 넣은 주머니를 장대에 묶어 세웠다. 이것을 넓은 마을 한복판이나 집 마당 등에 세우고 정월 대보름때 마을 사람들이 풍물놀이를 벌인다. 또한 마을의 입구에 마을의 수호신 역할이나 마을의 경계를 나타내는 의미로 세웠는데, 장승과 함께 세우는 경우도 많다. 그 밖에도 과거 급제를 축하하기 위해서 마을 입구에 꼭대기에 푸른 색 용을 붙인 주홍색 장대를 세우기도 했다.


솟대의 끝에는 오리나 기러기 등이 올려지는데, 옛날 솟대의 새들은 천상계의 신들과 마을의 주민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전령조였다는 설이 있다. 아시아의 북방민족들은 기러기, 오리, 백조 등 물새들이 가을에 남쪽으로 떠났다가 봄에 다시 돌아오는 것을 매우 신성시한다. 시베리아 오브강동쪽에 네넷족은 기러기가 남쪽에서 돌아오는 날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긴다. 이들은 기러기가 가을에 은하수를 따라 천상계로 날아갔다가 봄에 지상으로 돌아온다고 생각한다. 서시베리아의 카잔 타타르족도 봄에 남쪽에서 돌아오는 기러기떼를 하늘의 축복으로 생각한다. 또한 시베리아의 퉁구스족은 부족 내에 새로운 샤만이 출현하면 선대의 죽은 샤만의 혼령인 아비새가 돌아온다고 여긴다. 즉, 솟대위의 새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을 의미한다.



****소도

마한의 여러 나라에는 별읍(別邑)이 있는데 이를 소도라고 하였음. 별읍은 일종의 신성불가침의 영장(靈場)으로 여겨져서, 가령 죄인이 도망하여 이곳에 숨더라도 그를 잡아 갈 수가 없었으며, 이 까닭에 도적질이 성행하였음. 소도의 ‘솟대’를 단군설화에 나타나는 신단수(神壇樹)의 변천으로 보아, 처음에는 수목(樹木) 숭배사상에서 대목(大木) 그 자체를 의미하던 것이 후에 천신(天神)이 내려오는 계단 및 그 사는 곳 내지는 신성 지역의 뜻으로 점차 개념이 확대되고 변천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임. 그러므로 소도를 이를 천군이 주관하는 제사지역, 곧 별읍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솟대가 소도의 상징이고~ 소도는 신성불가침이란 기억이 나서~

솟대 깎아다가 꽂아 두고는 각시랑 무탈하게 살았음 좋겠다고 쓰려다

서론이 너무 길어져 버린 -_-ㅋㅋ



2011.05 S







'기억 想 > 일탈 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롯데시네마  (0) 2011.06.22
뭘 보냐?  (0) 2011.06.22
짝짝이  (0) 2011.06.14
호포역에서  (0) 2011.06.08
초읍 어린이 대공원  (0) 2011.05.29